교회 라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회 라틴어는 4세기 말 로마 제국 분열 이후 서방 교회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언어로, 초기에는 그리스어 및 히브리어 텍스트를 라틴어로 번역하는 데 사용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구어 버전이 등장하고, 카롤링거 르네상스를 거치며 표준화되었다. 종교 개혁 이후에는 개신교에서도 라틴어 사용이 줄었지만, 가톨릭 교회에서는 현재까지 공용어 및 로마 전례어로 사용되고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미사가 모국어로 번역되었지만, 라틴어는 여전히 가톨릭 교회의 중요한 언어로서 교황청 문서 작성, 전례, 신학 연구 등에 사용되며, 한국 가톨릭 교회에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티칸 시국의 언어 -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는 이탈리아와 산마리노를 중심으로 사용되며 바티칸 시국과 스위스 일부 지역에서도 공용어인, 토스카나 방언 기반으로 표준어가 형성된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 바티칸 시국의 언어 - 라틴어
라틴어는 기원전 8세기 라티움 지방에서 시작된 인도유럽어족 이탈리아어파 언어로, 로마 제국 확장을 통해 유럽에 퍼져나가 여러 단계를 거치며 발전했고, 로마 가톨릭교회 전례어와 학문 공용어로 쓰였으며, 현재는 사어이지만 바티칸 시국 공식어이고, 로망스어족의 모체로서 유럽 언어에 영향을 주었다. - 라틴 교회 - 불가타
불가타는 히에로니무스가 그리스어와 히브리어 원전을 참고하여 옛 라틴어 성경을 수정 및 번역하고, 이후 여러 학자들의 개정을 거쳐 트렌트 공의회에서 가톨릭 교회의 공식 성경으로 인정받았으며, 서구 기독교와 여러 언어에 큰 영향을 미친 라틴어 성경이다. - 라틴 교회 - 베투스 라티나
베투스 라티나는 4세기 말 제롬의 불가타 번역 이전에 사용된 구약 및 신약 성경의 초기 라틴어 번역본을 통칭하며, 불가타 제작에 영향을 미쳤고 일부 구절은 가톨릭 전례에 남아 있다. - 라틴어 - 고전 라틴어
고전 라틴어는 후기 로마 공화정부터 초기-중기 로마 제국 시대 라틴 문학의 표준어로, 특정 작가들의 모범적인 언어로 간주되며 황금기와 은세기로 나뉘고 문체와 발음 변화를 겪으며 후대 로망스어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라틴어 - 중세 라틴어
중세 라틴어는 서로마 제국 멸망 후 르네상스 시대까지 유럽에서 사용된 라틴어의 한 형태로, 고전 라틴어와 차이를 보이며 교회 공용어, 법률,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어 서유럽의 언어와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교회 라틴어 | |
---|---|
개요 | |
다른 이름 | 교회 라틴어, 전례 라틴어 |
사용 현황 | 더 이상 모국어로 사용되지 않음; 다른 용도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매우 다양함 |
사용 국가 | 로마 가톨릭교회, 루터교회, 성공회, 감리교회, 서방 정교회 |
문자 | 라틴 문자 |
계통 | 인도유럽어족 - 이탈리아어파 - 라틴팔리스칸어군 - 라틴어 |
언어 코드 | |
IETF | la-VA |
Glottolog | 해당 없음 |
참고 | |
IPA | 해당 없음 |
관련 정보 | |
기원 | 고대 라틴어 |
특징 | 중세 라틴어와 신 라틴어의 특징을 모두 가짐 |
용도 | 가톨릭교회의 라틴 전례 예식, 성공회, 루터교회, 서방 정교회의 전례 언어 |
2. 용법
교회 라틴어는 현재까지 가톨릭 교회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1962-1965)는 미사를 모국어로 번역할 것을 결정했다.[33] 교회는 다른 모든 언어로 번역할 때 참조할 수 있는 하나의 명확한 기준점을 제공하는 라틴어로 된 전례문을 제작했으며, 교회법 본문도 마찬가지이다.[34]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라틴어 사임 연설을 했다.[35]
교황청은 수세기 동안 일반적으로 현대 언어로 문서 초안을 작성했지만 사도좌공보에 게시된 권위 있는 텍스트는 일반적으로 라틴어로 작성되었다. 일부 텍스트는 처음에 현대 언어로 출판될 수 있으며, 라틴어 버전("editio typica")에 따라 이 라틴어 버전이 출판된 후 나중에 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톨릭교회 교리서는 1992년에 프랑스어로 초안을 작성하고 출판했다. 라틴어 원문은 5년 후인 1997년에 등장했고 프랑스어 원문은 라틴어 원문과 일치하도록 수정되어 공식 원문으로 간주된다. 바티칸 국무원의 라틴어 부서(구 ''Secretaria brevium ad principes et epistolarum latinarum'' )는 교황 및 교황청 문서의 라틴어 작성을 담당한다. 때로는 공식 문서가 현대 언어로 출판되기도 하는데, 교황 비오 10세의 ''Tra le sollecitudini''[13](1903) 칙령과 교황 비오 11세의 ''Mit brennender Sorge''(1937) 칙령이 그 예이다.
2. 1. 고대 말기
교회에서 라틴어 사용은 4세기 말 테오도시우스 황제 이후인 395년 로마 제국이 분열되면서 시작되었다.[28] 이 분리 이전에 그리스어는 교회의 주요 언어이자 로마 제국의 동방 언어였다. 분열 이후 히에로니무스와 같은 초기 신학자들은 그리스어와 히브리어 텍스트를 서로마 제국의 지배적인 언어인 라틴어로 번역했다. 로마 제국의 서쪽 절반에서 그리스어가 상실되고 로마 제국의 동쪽 절반에서 라틴어가 상실된 것은 즉각적인 현상은 아니었지만, 언어 문화와 교회의 발전을 변화시켰다.[29] 교회 라틴어가 고전 라틴어와 특히 다른 점은 번역 언어로서 유용하다는 점이다. 이는 코이네 그리스어에서 구문을 차용하고 동화하며 어휘를 차용하는 동시에, 일부 라틴어 단어의 의미를 코이네 그리스어 원본, 때로는 히브리어 원본의 자체 번역 의미에 적용하기 때문이다.[28]2. 2. 중세
카롤링거 르네상스 시대에 구어체 교회 라틴어가 만들어졌다. 샤를마뉴의 지시를 받아 프랑스에서 라틴어 작문의 표준을 개선하는 임무를 맡은 영국의 학자 알쿠인은 라틴어 철자를 비교적 문자적으로 해석하여 발음을 규정했다. 예를 들어,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과수원'과 같은 단어는 이제 vergier|베르기에fro (나중에 고대 프랑스어 표기)가 아닌, 철자 그대로 읽어야 했다. 카롤링거 개혁은 곧 새로운 교회 라틴어를 프랑스에서 로망스어가 사용되는 다른 지역으로 확산시켰다.[8]2. 3. 종교 개혁과 현대 개신교회에서의 사용
서방 교회에서 라틴어 사용은 근대 초기까지 이어졌다. 종교 개혁 기간 동안 마르틴 루터의 신조 중 하나는 당시 많은 사람들이 이해하지 못했던 언어인 라틴어가 아닌 일반 언어로 예배와 종교 문서를 작성하는 것이었다. 개신교인들은 예배에서 라틴어를 사용하는 것을 자제했지만, 개신교 성직자들은 18세기까지 라틴어가 고등 학문과 신학 사상의 언어였기 때문에 라틴어를 배우고 이해해야 했다.[31] 종교개혁 이후 루터교회에서는 라틴어가 주중 미사의 언어로 유지되었지만 일요일 안식일에는 독일어 미사를 드려야 했다.[32] 제네바의 개혁 교회들 사이에서 "자신의 신앙을 증명하기 위해 당회에 소집된 사람들은 ''성부 성가'', ''아베 마리아'', 라틴어 신조를 낭송함으로써 응답했다."[32] 성공회에서는 일반 기도서가 영어와 함께 라틴어로 출판되었다.[45] 감리교회의 창시자 존 웨슬리는 마르틴 루터와 장 칼뱅이 그 시대에 그랬던 것처럼[45] 교리서에 라틴어 텍스트를 사용했다.[45] 뷔르템베르크와 라인란트의 개신교 성직자 훈련에서 대학은 신학 학생들에게 라틴어를 가르쳤고 그들의 시험은 이 언어로 진행되었다.[32] 개혁주의 후원 하에 있는 몽토방 대학교는 신학생들이 두 개의 논문을 완성하도록 요구했는데, 그 중 하나는 라틴어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개혁파 목사들은 가톨릭 신학생에 필적하는 "훈련에 의한 라틴주의자"였다.[32]2. 4. 현대 가톨릭 교회에서의 사용
교회 라틴어는 현재까지 가톨릭 교회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1962-1965)는 미사를 모국어로 번역할 것을 결정했다.[33] 교회는 다른 모든 언어로 번역할 때 참조할 수 있는 하나의 명확한 기준점을 제공하는 라틴어로 된 전례문을 제작했다. 교회법 본문도 마찬가지이다.[34]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뜻밖의 라틴어 사임 연설을 했다.[35]교황청은 수세기 동안 일반적으로 현대 언어로 문서 초안을 작성했지만 사도좌공보에 게시된 권위 있는 텍스트는 일반적으로 라틴어로 작성되었다. 일부 텍스트는 처음에 현대 언어로 출판될 수 있으며 라틴어 버전(또는 "editio typica")에 따라 이 라틴어 버전이 출판된 후 나중에 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톨릭교회 교리서는 1992년에 프랑스어로 초안을 작성하고 출판했다. 라틴어 원문은 5년 후인 1997년에 등장했고 프랑스어 원문은 라틴어 원문과 일치하도록 수정되어 공식 원문으로 간주된다. 바티칸 국무원의 라틴어 부서(구 ''Secretaria brevium ad principes et epistolarum latinarum'' )는 교황 및 교황청 문서의 라틴어 작성을 담당한다. 때로는 공식 문서가 현대 언어로 출판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유명한 교황 비오 10세의 ''Tra le sollecitudini''[13](1903) 칙령과 교황 비오 11세의 ''Mit brennender Sorge''(1937) 칙령이 있다.
3. 고전 라틴어와의 비교
고전 라틴어와 교회 라틴어 사이에는 많은 차이가 없다. 둘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발음과 철자, 어휘에 있기 때문에 고전 텍스트의 라틴어를 알면 교회 라틴어를 이해할 수 있다.[37]
많은 국가에서 전례 또는 기타 교회 목적으로 라틴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로마에서 전통적으로 된 발음을 사용하여 문자에 현대 이탈리아어의 값을 부여하지만 "E"와 "O"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한다. "AE"와 "OE"는 "E"와 합쳐진다. 그리고 "I", "C" 및 "G"는 각각 (영어 "CH") 및 (영어 "J")로 발음된다. 모음 앞의 "TI"는 일반적으로 로 발음된다(앞에 "S", "T" 또는 "X"가 없는 경우). 이러한 화자는 자음 "V"("U"로 표기되지 않음)를 영어에서와 같이 로 발음하고 이중자음은 그대로 발음한다. 고전 라틴어에서는 장모음과 단모음의 구분을 무시하고 장모음을 표시하는 가로선인 '마크론' 대신 악센트를 악센트로 사용한다. 2음절 단어의 첫 음절에 강세가 있다. 긴 단어에서는 강세 모음 위에 날카로운 악센트가 위치한다. 예를 들어 아도레무스(adorémus)는 '우리가 경배하게', 도미니(Dómini)는 '주님의'를 뜻한다.[37]
4. 언어 자료
라틴어로 된 성서 전체 본문인 개정판 불가타는 신불가타 - 성서 모음집(Nova Vulgata - Bibliorum Sacrorum Editio)에 있다.[38] New Advent[39]는 전체 성경을 두에 버전으로 각 구절의 속라틴어와 함께 구절별로 제공한다.
1976년 교황 바오로 6세가 라틴어 연구와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라티니타스 재단[40](라틴어: ''Opus Fundatum Latinitas'')을 설립했다. 본사는 바티칸 시국에 있다. 재단은 라틴어로 된 동명의 분기 간행물을 발행한다. 재단은 또한 현대적 개념에 대한 라틴어 조어를 제공하는 15,000단어 분량의 이탈리아어-라틴어 ''Lexicon Recentis Latinitatis'' (''최신 라틴어 사전'')을 출판했다. 이 사전은 자전거(''birota''), 담배(''fistula nicotiana''), 컴퓨터(''instrumentum computatorium''), 카우보이(''armentarius''), 모텔(''deversorium autocineticum''), 샴푸(''capitilavium''), 파업(''operistitium''), 테러리스트(''tromocrates''), 상표(''ergasterii nota''), 실업자(''invite otiosus''), 왈츠(''chorea Vindobonensis''), 심지어 미니스커트(''tunicula minima'')와 핫팬츠(''brevissimae bracae femineae'')와 같은 단어를 제공한다. 이 책에서 추출된 약 600개의 용어는 바티칸 웹사이트의 한 페이지[18]에 나와 있다. 라티니타스 재단은 2012년 교황청 라틴어 학술원(Pontificia Academia Latinitatisla)에 의해 대체되었다.
5. 현재 사용
라틴어는 여전히 성좌의 공용어이며 가톨릭교회의 로마 전례어이다.[41] 1960년대까지 그레고리안과 같은 로마 대학에서 가톨릭 사제들은 라틴어 교과서를 사용하여 신학을 공부했고 많은 신학교의 교육 언어도 라틴어로, 교부들의 언어로 여겨졌다. 그러나 교육학 및 신학 연구에서 라틴어 사용은 그 이후로 감소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법은 "신학교와 교황청 대학에서 라틴어의 사용이 이제 멸종될 정도로 줄어들었지만"[42] 라틴어에 대한 철저한 훈련을 제공하기 위해 신학교 양성을 요구한다.[43] 라틴어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같은 가톨릭 지도자들의 최근 국제 모임에서 여전히 사용되었으며 새 교황을 선출하기 위한 콘클라베에서도 여전히 사용된다. 2004년 주교 시노드의 제10차 정기 총회는 토론을 위한 라틴어 그룹이 있었던 가장 최근의 총회였다.
비록 라틴어가 서양(라틴) 교회의 전통적인 전례 언어이지만,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전례 개혁 이후로 이 방언의 전례 사용이 지배적이었다. 라틴 교회의 전례법은 미사를 라틴어 또는 전례 본문이 있는 다른 언어로 기념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1962년 형식의 트리엔트 미사를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승인하고 처음 라틴어로 읽은 성경 읽기를 선포할 때 모국어 사용을 허가한다.[44]
성공회와 루터교회와 같은 역사적인 개신교 교회에서는 때때로 미사를 찬송하는데 교회 라틴어가 사용된다.[45]
참조
[1]
웹사이트
On the Western Rite Liturgy Antiochian Orthodox Christian Archdiocese
http://antiochian.or[...]
2017-12-30
[2]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Church Latin
http://www.newadvent[...]
2018-11-27
[3]
서적
Primer of Ecclesiastical Latin
[4]
서적
Late Latin and Early Romance in Spain and Carolingian France
Francis Cairns
1982
[5]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Primer of Ecclesiastical Latin
[7]
서적
Latin: Story of a World Language
Harvard University Press
[8]
서적
Late Latin and Early Romance in Spain and Carolingian France
Francis Cairns
[9]
서적
Natural History of Latin: The Story of the World's Most Successful 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Latin, Or, The Empire of a Sign: From the Sixteenth to the Twentieth Centuries
Verso
[11]
뉴스
Second Vatican Council Roman Catholic history [1962–1965]
https://www.britanni[...]
2018-11-27
[12]
Youtube
the Catholic News Service channel
https://www.youtube.[...]
[13]
웹사이트
Tra Le Sollecitudini Instruction on Sacred Music
https://adoremus.org[...]
1903-11-22
[14]
문서
Roman Missal
[15]
웹사이트
Nova Vulgata – Bibliorum Sacrorum Editio
https://www.vatican.[...]
[16]
웹사이트
HOLY BIBLE: Genesis 1
http://www.newadvent[...]
[17]
웹사이트
Latinitas, Opus Fundatum in Civitate Vaticana
https://www.vatican.[...]
[18]
웹사이트
Lexicon Recentis Latinitatis, parvum verborum novatorum Léxicum
https://www.vatican.[...]
[19]
문서
Official documents are frequently published in other languages. The Holy See's diplomatic languages are French and Latin (such as letters of credence from Vatican ambassadors to other countries are written in Latin Fr. Reginald Foster, on Vatican Radio, 4 June 2005). Laws and official regulations of Vatican City, which is an entity that is distinct from the Holy See, are issued in Italian.
[20]
법규
Can. 249
https://www.vatican.[...]
[21]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2]
법규
Can. 928
https://www.vatican.[...]
[23]
웹사이트
Apostolic Letter: On the Use of the Roman Liturgy Prior to the 1970 Reform
https://www.vatican.[...]
2015-03-27
[24]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5]
웹사이트
On the Western Rite Liturgy Antiochian Orthodox Christian Archdiocese
http://antiochian.or[...]
2017-12-30
[26]
서적
Primer of Ecclesiastical Latin
[27]
서적
Late Latin and Early Romance in Spain and Carolingian France
Francis Cairns
1982
[28]
서적
Primer of Ecclesiastical Latin
[29]
서적
Latin: Story of a World Language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30]
서적
Late Latin and Early Romance in Spain and Carolingian France
Francis Cairns
[31]
서적
Natural History of Latin: The Story of the World's Most Successful Languag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2]
서적
Latin, Or, The Empire of a Sign: From the Sixteenth to the Twentieth Centuries
Verso
[33]
뉴스
Second Vatican Council Roman Catholic history [1962–1965]
https://www.britanni[...]
2018-11-27
[34]
웹인용
CATHOLIC ENCYCLOPEDIA: Church Latin
http://www.newadvent[...]
2018-11-27
[35]
Youtube
the Catholic News Service channel
https://www.youtube.[...]
[36]
웹인용
Tra Le Sollecitudini Instruction on Sacred Music
https://adoremus.org[...]
2022-11-20
[37]
문서
Roman Missal
[38]
웹인용
Nova Vulgata - Bibliorum Sacrorum Editio
https://www.vatican.[...]
[39]
웹인용
HOLY BIBLE: Genesis 1
http://www.newadvent[...]
[40]
웹인용
Latinitas, Opus Fundatum in Civitate Vaticana
https://www.vatican.[...]
[41]
문서
As stated above, official documents are frequently published in other languages. The Holy See's diplomatic languages are French and Latin (such as letters of credence from Vatican ambassadors to other countries are written in Latin [[Reginald Foster (Latinist)|Fr. Reginald Foster]], on Vatican Radio, 4 June 2005]). Laws and official regulations of [[Vatican City]], which is an entity that is distinct from the Holy See, are issued in Italian.
[42]
웹사이트
Can. 249
https://www.vatican.[...]
[43]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44]
웹인용
Apostolic Letter: On the Use of the Roman Liturgy Prior to the 1970 Reform
https://www.vatican.[...]
2015-03-27
[45]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